
국제해사기구(IMO)가 해운업계의 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한 ‘넷제로 프레임워크(Net Zero Framework)’ 채택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업계 내 찬반 의견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이 프레임워크는 2050년까지 해운업의 순배출 제로 달성을 목표로 하며, 글로벌 탄소 부과금과 연료기준 설정, 중앙 ‘Net Zero Fund’ 설립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일본, 노르웨이, 덴마크, 영국, 벨기에, 네덜란드, 싱가포르 등 7개국 선주협회는 공동 성명을 통해 “런던에서 역사를 만들자”며 프레임워크 채택을 촉구했다.
이들은 “글로벌 규제가 없다면 녹색 전환은 지역 규제의 복잡한 패치워크로 전락할 것”이라며, 투자 예측 가능성과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을 위해 프레임워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다.
존 프레드릭센의 Frontline, 조지 이코노무의 TMS Group, 에반젤로스 마리나키스의 Capital Maritime, 안젤리쿠시스그룹(Angelicoussis Group), 사우디 국영 Bahri 등 메이저 선주들은 “현재 형태의 프레임워크는 업계와 소비자에게 과도한 재정적 부담을 줄 수 있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채택 전 “중대한 수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INTERTANKO는 프레임워크의 방향성에는 동의하면서도, 구현에 있어 신중한 접근을 요구했다. INTERTANKO의 환경 담당 부국장 Emma Scheiris는 “프레임워크는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연료 인증 제도 부재, 수명주기 평가 기준 부족, 풍력 추진 등 비연료 에너지원에 대한 명확한 크레딧 부여 등 기술적 장애물이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IMO 사무총장 아르세니오 도밍게스는 “프레임워크가 채택될 것이라 확신한다”며 낙관적인 입장을 보였지만, 미국은 여전히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번 투표는 MARPOL 부속서 VI를 비준한 176개국 중 2/3 이상인 108개국의 찬성이 필요하며, 동남아시아, 중동, 라틴 아메리카 등 일부 유동적인 국가들의 선택이 결과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국제항만협회(IAPH)의 패트릭 버호벤(Patrick Verhoeven) 전무는 “프레임워크가 채택되지 않으면 투자 불확실성이 극대화될 것”이라며, “IMO의 넷제로 목표 달성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