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中 해운, 관세로 美 수출길 막히자 ‘면세 적용 이커머스’ 활용 직접항로 공략
중국 정부가 최근 중국발 전자상거래(이커머스) 물량을 중점적으로 취급하는 해운사를 운영해 미국으로 수출 물량을 유지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된다.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미국과의 관세 전쟁이 더욱 확산·장기화될 것에 대비해 관세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커머스에 집중하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28일 중국 해운 전문가들에 따르면 중국과 미국 서부 로스앤젤레스(LA)를 연결하는 허더(合德·Hede)항운의 컨테이너 항로가 올해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 허더항운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이 한창이던 지난해 4월 북미항로 진출을 선언했다. 현재 허더항운은 중국과 미국 서안을 매주 왕복 운항하는 컨테이너선 항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허더는 중국 허베이항만(河北港口)그룹 산하의 외항해운사다. 허베이항만그룹이 중국 허베이성에 위치한 주요 국유 독자기업임을 감안하면, 허더 역시 중국 정부의 입김을 강하게 받는 해운사로 분류된다. 중국 현지 해운 전문가들은 허더항운이 중국에서부터 미국 서안까지 운송하는 물동량의 상당수가 이커머스 관련 제품이라는 설명이다. 허더항운은 5000TEU 이하급
- 상해(중국) = 윤동 기자
- 2025-08-03 2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