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과 일본 정부의 물류 구조 개편이 맞물리면서 한일 해운 시장에 미묘한 변화가 일고 있다. 일본에서 30여개 지방항을 연결하며 현지 영업을 총괄하는 남성해운 일본 법인장 김진석 대표를 만나, 물동량 흐름과 운임, 신조 발주 계획, 그리고 새로운 사업 구상을 들었다...<<공동취재: 한국해양기자협회 부두진 쉬핑데일리 편집국장, 김의철 뉴스로드 편집국장>> ▲ 최근 한일 간 물동량에 변화가 있습니까? 김진석 법인장 : “7월까지는 큰 문제 없이 유지됐습니다. 그런데 일본은 8월 초부터 ‘오봉’이라고 불리는 장기 휴가가 시작됩니다. 올해는 9일부터 17일까지 이어지는데, 이 기간에는 공장 가동이 거의 멈춰 물동량이 뚝 떨어집니다. 9월부터 물량을 다시 유치해야 하는데, 상반기보다 쉽지 않을 겁니다.” ▲일본의 ‘드라이버 24’ 제도가 해상물류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습니까? “이 제도는 트럭 운전사의 시간외 근무를 연간 960시간, 하루 최대 13시간으로 제한합니다. 장거리 육상 운송이 어려워졌으니 해상물동량이 늘 거라고 처음엔 기대했죠. 하지만 현실은 달랐습니다. 일본 정부는 게이힌항(도쿄·요코하마·가와사키)
미국 트럼프행정부의 고율 관세 폭탄으로 전 세계 공급망이 재편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한일 양국의 해운협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해양기자협회는 박문수 한국선급 일본대표(동경지부장)를 만나 일본에서의 선급 동향을 물었다...<<공동취재: 한국해양기자협회 부두진 쉬핑데일리 편집국장, 김의철 뉴스로드 편집국장>> 박문수 한국선급 일본대표 [사진=한국해양기자협회 공동취재단] ▲최근 일본 유명 선주로부터 여러척의 신조선을 한국선급에 입급했다고 들었습니다. 우선 축하드립니다. 일본 선주들이 거의 대부분 NK를 쓰는 걸 생각하면 꽤 이례적인데요. 박문수 대표: 맞습니다. 일본 선주를 단기간에 설득하는 건 사실상 어렵습니다. 이번 건은 몇 년, 아니 수년 동안 관계를 이어오면서 쌓아온 신뢰가 있었기에 가능했죠. 누가 갑자기 해서 된 게 아니라 오랜 시간 공을 들인 결과입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선박들이 들어오나요? 캄사르막스 벌커, 파나막스, 뉴캐슬막스, 핸디막스, MR탱커 등이죠. 나머지 물랑은 협의 중입니다. 재미있는 건 전부 중국에서 건조되고 있다는 겁니다. ▲일본 조선소들은 여전히 벌크선을 건조하는데도 중국을 택한 이유가 있나요? 일본 조